본문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부직포 정의 DEFINITION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부직포라는 명칭은 나라마다 다양하게 불리워지고 있다. 그러나 이 용어의 사용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부직포란 용어는 1942년 미국에서 Adhesive Bonded Fiber Webs를
상업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 후 이 용어는 의미 그대로 여러나라 말로
번역되어 섬유공업이 발달한 나라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용어의 부정적인 의미는 많은 연구자와 언어학자들간에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1959년초 북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섬유학 교수였던 Elliot Grover는 최초로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였으나 대체할 만한 적당한 용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때때로 몇몇 저자들에 의해 "Bonded Fabrics" 또는 "Fiber Fabrics" 와 같은 용어들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보편적으로 널리 통용되지는 못하였다.
1961년 프라하에서 열린 국제부직포 심포지엄에서 Jorder는 부직포라는용어의 불합리한 점을
지적하고 다른 나라 언어보다 문법적인 문제를 덜 수반하는 독일용어의 사용을 주장했다.
그러나 문법적인 문제는 독일에서도 제기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던 "Vliesstoffe"라는
용어도 사용이 보류되고 있다.
용어의 부정적인 의미에 대한 논쟁이 시작된지 4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별다른 대체어를 찾지
못하고 나라마다 명칭은 여러 가지로 통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Nonwoven Fabrics, Nonwovens, Bonded Web, Nonwoven Textile,
Bonded fabrics, Bonded Fiber Fabrics, 영국에서는 Bonded Fibre Fabrics,
독일에서는 Vliesstoften, 프랑스에서는 Nontisses 등으로 부르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극동지역에서는 부직포, 무직포라고 불리워 지고 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부직포 정의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부직포라는 용어를 글자 의미대로 해석하면 "짜여지지 않은 천"이란 뜻이다.
이러한 의미로 보자면 태고의 인류가 사용하였던 모피, 나뭇잎, 수피 등도 제직하지 않은 의복임에는 틀림없지만 부직포라고 명명하기는 어렵다.
그러면 부직포란 무엇이라고 정의하여야 하는가?부직포의 정의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에 여러 가지 정의가 내려지고 있고,
나라들마다 부직포의 정의와 영역에 대한 상이한 해석을 하고 있다.
1942년 이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한 무렵에는 재래식 방법으로 생산되는 섬유류를 의미하였으나, 이 기술이 계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1960년대에는 부직포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부직포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중에서도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에 의하면 "부직포는 방적(紡績), 제직(製織)에 의하지 않고 섬유집합체 또는
필름을 물리적, 화학적 수단에 의하거나 적당한 수분이나 열로써 섬유 상호간을 결합시킨 것"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 정의는 미국과 유럽의 부직포업체들에 의해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이외에 "웨브장 또는 Sheet장의 섬유집합체를 Base로 하여 이것을 결정체로 결합시키거나 열가소성 섬유를 이용하여 섬유간 결정을 강하게 한 것" 이라는
정의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부직포란 어떤 소재인가?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부직포는 천연, 화학, 유리, 금속 등 각종 섬유를 상호간의 특서에 따라 엉키게 하며 시트모양의 웨브(Web)를 형성, 이를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결합시켜 만든 평면 구조를 부직포라 일컫는다.
최근에 와서는 우리 산업과 생활주변에 부직포가 광범위하게 소비되고 있으나 아직도 부직포 용도와 특성, 기능이 실 수요자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아
부직포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의 창출이 지금까지는 미약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응용분야 확대 연구가 업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다기능성 첨단 부직포 제품이 속속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